Spelunky 2 Playable Character Check List
사진 | 이름 | 설명 |
Ana Spelunky | 기본 캐릭터로 본작의 주인공. 전작의 주인공인 Guy Spelunky의 딸로, 부모님을 찾으러 달까지 왔다고 한다. 펫으로 등장하는 강아지 Monty를 키우고 있으며, 자유분방한 성격. | |
Margaret Tunnel | 기본 언락 캐릭터. 바다를 매우 좋아하는 해적. 자신만의 해적선을 사는 것이 꿈이라고 한다. Manfred Tunnel의 딸이다. Ana의 친구인 듯. | |
Colin Northward | 기본 언락 캐릭터. 올맥과 동굴의 저주를 탐사하기를 원하는 예술가이자 엔지니어. 주인공의 부모가 우주선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었다. | |
Roffy D. Sloth | 기본 언락 캐릭터. 소심한 성격인 듯 보인다. 말버릇으로 cool...을 붙인다. 1편에서 이스터에그로 나오던 나무늘보 담셀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. | |
Alto Singh | 1-4 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주인공의 부모님과는 오랫동안 함께 여행한 사이이다. | |
Liz Mutton | 2-1 정글 지역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전작에서도 등장하는 초록색 캐릭터. 외면은 까칠하지만 속으로는 동료들을 생각하는 성격이라고 한다. | |
Nekka the Eagle | 2 스테이지 정글 지역 암시장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정글의 전사라는 설정으로, 해금하고 나면 튜토리얼 지역 부분에 추가로 열리는 숲 지역에 거주한다. | |
Lise Project | 2-1 화산 지역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이곳의 데이터를 수집하기를 원하는 AI 로봇이라는 듯. 가끔 말을 걸면 스펠렁킹에 성공할 확률을 랜덤으로 말해주기도 한다. | |
Coco Von Diamonds | 2 스테이지 화산 지역 뱀파이어 성채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유명 패션 브랜드 Von Diamonds의 창립자이며 휴가차 여행을 떠났다. Pearl이라는 이름의 애완원숭이를 데리고 다닌다. Demi의 어머니이기도 하다. | |
Manfred Tunnel | 3 스테이지(올맥) 앙크를 획득할 수 있는 곳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전작에서 숏컷을 뚫어주던 캐릭터이다. | |
Little Jay | 4-4 조수 웅덩이 지역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주인공의 부모님의 광팬이다. | |
Tina Flan | 4 스테이지 조수 웅덩이 지역 태고의 바다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주인공의 어머니이다. 저널과 다른 캐릭터들과의 대화를 보면 가지런을 했던 것으로 유명한 모양이다. 딸인 Ana와 저널 끝맺음말이 똑같다. | |
Valerie Crump | 4-1 ~ 4-4 아누비스 신전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저널의 설명에 따르면 영감을 얻기 위해 이곳에 왔다는 듯. | |
Au[5] | 4-3 황금 사원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전신이 금빛인 수도승으로, 혼돈으로 가득 찬 우주에서 내면의 평화를 찾기 위해 수행 중이라고 한다. | |
Demi Von Diamonds | 5-1 예티 동굴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전작에서는 담셀 중 한 명이기도 했던 캐릭터. Von Diamonds의 딸이자 상속인이라는 듯. 애지중지 길러졌지만 세상을 더 배우고 싶어 이곳에 왔다고. | |
Pilot | 5-1 외계 모선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아마도 다른 행성에서 온 듯한 수수께끼의 비행사. | |
Princess Airyn | 6 스테이지 신 바빌론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이름과 같이 Heliotropia의 공주인 듯. | |
Dirk Yamaoka | 7 스테이지 가라앉은 도시의 개구리 입 안에서 언락할 수 있다. 여담으로 동양인 닌자 컨셉이나, 그의 이름인 Dirk은 Derek의 애칭인 점이나, 성이 Y로 시작하는 걸 봐선 메인 디렉터인 데릭 유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듯. | |
Guy Spelunky | 어떤 엔딩이든 보고나면 언락할 수 있다. 전작의 주인공이자 | |
Classic Guy | 7 스테이지 훈둔을 처치하고 엔딩을 보면 언락할 수 있다. 이름 그대로 클래식 스펠렁키의 모습인 굵은 도트의 외형을 지녔다. 다른 차원에서 온 Guy Spelunky라고 하며, 말이 한 마디도 없는 게 특징. 점프할 때마다 특유의 띠용 거리는 소리가 특징이다. |